2024 대한민국건축문화제 일반전시
2024 대한민국건축문화제 일반전시
한국건축가협회상
건축가의 창작 활동이 사회 발전과 인간 생활환경 창조에 기여하고, 건축적, 기술적, 문화적인 성과를 이룩하는 과정에서 협력한 건축주, 시공자들의 공로를 치하하며, 건축 전반의 제작 의욕을 제고하고, 길게는 건축문화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한국건축가협회상을 1979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주최: (사)한국건축가협회
주관: (사)한국건축가협회 건축상위원회
심사위원: 이재훈(위원장, 단국대학교), 김미리(조선일보), 김종헌(배재대학교), 김현수((주)이소우건축사사무소), 이은석((주)코마건축사사무소)
9로평상
© 김재윤
© 김재윤
도시개발지역과 공원과의 경계부지에 위치한 대지의 특징을 살려, 대지에서의 공원조망과 공원에서의 건물조망이라는 시각적 상호연계성을 잘 살린 작품이다. 건축물은 가운데 공장부분을 수직으로 오픈하고 그 주변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사진 슬라브와 대형계단으로 둘러싸게 하여 역동적인 내부공간을 만들고 있고, 사이사이에는 좌식으로 앉는 평상을 두어 한국적 공동체 생활 양식을 현대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콘크리트의 구조적 한계와 조형적 가능성을 다루는 건축가의 능력이 뛰어난 작품이다.
대표건축가
건축주
시공자
곽희수_(주)이뎀건축사사무소
9로평상
이백화_(주)제효
S 5215
© 김용관
© 김용관
부지의 코너에서부터 시작된 외부 계단이 옥상까지 둘레길처럼 건물을 두르게 함으로써, 도시공간과 건물을 유기적으로 엮어주고, 길의 연장이 건물의 기능으로 이어진다는 주제를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건물이다. 최대면적을 확보하려는 기존의 일반적인 볼륨의 상가와 달리, 콘크리트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외부의 경관을 건물로 끌어 들여오도록 하였고, 내부의 모습은 중첩시켜 보이도록 함으로써 인근 상가 지역의 도시경관을 새롭게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대표건축가
공동설계자
건축주
시공자
조성욱_ (주)조성욱건축사사무소
장연재_(주)조성욱건축사사무소
이명심, 최재욱_(주)제이엠더블유인터내셔날
김양길, 정종규, 현승재_(주)제이아키브
HD현대 글로벌 R&D센터
© 박완순
© 박완순
고속도로의 속도감에 비견되는 강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철골구조를 2중 외피처럼 돌출하여 기업이미지를 표출하면서 건물에는 그림자 효과를 주어 건물을 입체적으로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 건물 전체를 꿰뚫는 내부의 아트리움은 ‘와우’ 효과에 의해 하나된 기업의 정체성을 살려 주며,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는 사무소 건축물에 대한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첨단의 기술을 집약한 건축물로서 전체적으로 세련되며, 디테일이 우수한 작품이다.
대표건축가
공동설계자
건축주
시공자
정영균_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NIKKEN SEKKEI LTD
(주)HD현대
(주)현대건설
남양성모성지 대성당
© 김용관
© 김용관
완만한 산줄기의 실루엣 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거대한 두 개의 벽돌로 이루어진 원통형 타워가 넓은 대지를 하나로 묶어주며 장소가 갖는 의미를 극대화한 작품이다. 종교시설이 갖는 강당 같은 이미지가 아니라 타워로 묶인 예배당은 관람자들을 스며들 듯이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고, 신비해 보이면서도 심플한 천정 구조체와 빛과 어우러지는 벽돌벽의 조형성이 뛰어난 공간을 만들고 있다. 장소와 건축물의 조화가 사람들을 감동으로 이끌게 하는 명작이다.
대표건축가
공동설계자
건축주
시공자
마리오보타_스튜디오
보타한만원_(주)HnSa건축사사무소
이상각_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정세학_장학건설(주)
리안갤러리 본관
© Joel Moritz
© Joel Moritz
오래된 단독 주택과 근린생활시설로 둘러싸인 불규칙한 대지에 U자형 알루미늄 패널과 노출콘크리트로 대비되는 두 개의 엇갈린 직육면체 매스의 단순한 외관으로 지역의 경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작품이다. 내부공간은 전시장으로서의 폐쇄성을 탈피하여, 교차되는 매스 사이의 공간을 중첩시키면서 높이의 변화를 주어 역동적인 공간으로 처리하였고, 테라스와 대형 창문을 통해 주변과 엮음으로서 지역과 함께하는 건축물로서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대표건축가
공동설계자
건축주
시공자
전필준_대구가톨릭대학교
양성용_(주)인터건축사사무소
안혜령_리안갤러리
정홍표_(주)홍성건설
성문안클럽하우스
©이동조
©이동조
기존의 클럽하우스가 가졌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주변의 불규칙하게 절개된 산악지형에 지하공간 같은 심플하면서도 강력한 수평의 매스를 층층이 연결하고, 넓은 옥상계단을 이용하여 주변의 자연환경과 기술적, 시각적 조화를 이루어내고 있는 작품이다. 내부공간은 외부환경과 연결된 시각적 포인트를 잘 활용하였으며, 건물 요소요소의 전체적 조화 측면에서 콘크리트 건물의 조형적 특성을 잘 살려낸 건축가의 역량이 돋보이는 건축물이다.
대표건축가
공동설계자
건축주
시공자
우준승_LESS ARCHITECTS
김호겸_LESS ARCHITECTS
HDC리조트
이턴산업개발
시호재
© 김용관
© 김용관
필지를 감싸고 있는 주변의 산지와 대지에 있던 습지를 모티브로 하여, 산과 정원, 건축물이 잘 조화되도록 한 작품이다. 둥근 호 형태의 지붕선을 과감하게 적용하여, 주변 풍경을 재단해 냄으로써 주변 산세를 드라마틱하고 시적으로 잘 표현해 내었다. 건축이 자연을 감상하는 지렛대로서 역할을 수행한 셈이다. 재료의 활용과 디테일의 섬세함으로 건축 불모지인 농촌 마을에 수준 높은 건축물을 선보임으로써 지역 사회의 문화적 안목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대표건축가
건축주
시공자
유이화_ (주)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박용해
시호재(時弧齋)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은 본 협회로 건축문화발전을 위해 기금을 기증한 건축가의 뜻에 따라 제정된 건축상이다. 초평건축상, 아천건축상, 엄덕문건축상, 양남학생건축상, 김종성건축상, 천병옥건축상, 무애 25년 건축상이 있으며 매년 격년으로 나누어 시행한다.
주최: (사)한국건축가
주관: (사)한국건축가협회 건축상위원회
아천건축상
한국적 설계이념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한국적 조화미를 나타내려는 의지가 보이는 작품을 설계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아천 김경환 선생이 기증한 기금으로 1987년 제정되었다.
심사위원: 남해경(위원장, 전북대학교), 남정민(고려대학교), 장영철(와이즈건축사사무소)
수상: <연안재>_이성범_(주)이성범건축사사무소
©이병근
©이병근
김종성건축상
매 해당 연도 이전 5년간에 완성된 작품으로, 디자인에 적용한 테크놀로지가 창의적이고 건축적 완성도가 뛰어난 건축물을 선정하고 그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김종성 선생이 기증한 기금으로 2010년 제정되었다.
심사위원: 손두호(위원장, (주)건축사사무소 모람), 김기영((주)범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이원재((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이정훈((주)조호건축사사무소), 정인하(한양대학교)
수상: <디에이치갤러리>_김찬중_(주)더시스템랩 건축사사무소
©홍성준
©홍성준
무애25년건축상
매 해당 연도 기준으로 준공된 지 25년 이상 경과한 국내건축물 또는 공간 환경으로서 현재까지 건축적·공공적 가치를 인정받는 작품을 선정하고 그 건축주와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광노 선생이 기증한 기금으로 2014년 제정되었다.
심사위원: 전봉희(위원장, 서울대학교), 김태일(제주대학교), 김현섭(고려대학교 )
수상: <유네스코 회관>_배기형_구조사 건축기술연구소_유네스코한국위원회
김정철건축문화상
건축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건축문화 발전에 공로가 인정되는 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김정철 선생이 기증한 기금으로 제정되었다.
심사위원: 조남호(위원장, (주)솔토지빈건축사사무소), 김정은(CNB 미디어), 백승만(영남대학교), 이명진((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조재원(도시건축연구소 0_1 스튜디오)
수상: <정다영>_큐레이팅 아키텍처 콜렉티브
한국건축가골드메달 (KIA GOLD MEDAL)
KIA Gold Medal은 건축가의 삶 동안 건축 작품의 현저한 업적을 이룩하여 일반대중과 동료 및 후배 건축가들에게 존경받는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명예로운 건축상으로 2014년 제정되었다.
주최: (사)한국건축가협회
주관: (사)한국건축가협회 건축상위원회
심사위원: 이중원(위원장, 성균관대학교), 김용미((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민현식((주)건축사사무소 기오헌)
수상: 수상자 없음
제43회 대한민국건축대전 국제일반공모전
1949년부터 개최된 대한민국 미술전람회(국전, 5회부터 건축부문 신설)가 1982년 폐지됨에 따라 이의 전통과 의의를 계승하여, “대한민국 건축대전” 을 창설하면서 범 건축인이 참여하는 뜻있는 국가적 행사가 될 것을 지향하며 ‘대한민국 건축대전 일반공모전’(1982년 1회)을 신설하였다. 참여는 건축과 도시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 지원이 가능하며, 2012년부터, 세계화에 발맞추기 위해 국제 공모전으로 개최하고 있다. 건축 공모전으로 국내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만큼, 매년 수많은 지원자가 참여하여, 건축 신진작가로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주제 : 참여를 수용하는 미완의 건축
Conditional Architecture Embracing Participation
주최: (사)한국건축가협회
주관: (사)한국건축가협회 설계위원회 _ 정윤천 건축대전위원장
후원: (사)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사협회
심사위원: 손진(심사위원장, (주)이손건축), 박종기(순천향대학교), 신현보(한남대학교), 유이화((주)ITM유이화건축사사무소), 이상윤(연세대학교), 이은경(이엠에이건축사사무소(주)), 전상규(보편적인건축사사무소)
3차 심사 대상자
Cluster of Potential_ 잠재적 차원의 발견을 통한 도시 변화 가능성 확보 전략 | 김세연(경기대학교)
열린 임시수도체험관 | 박유정(동명대학교)
코라의 시대, 기입의 공간 | 박상원(한경국립대학교)
ELEVATING THE KAMPUNG | 양재원(서울과학기술대학교)
리듀어-빌 (지역에 자생하는 분산형 도서관 프로젝트) | 엄도현(홍익대학교)
열린 결말의 건축: 해체하며 더하는 시간성 | 전세빈(이화여자대학교)
장산역 미디어 환승 코어 | 조창현(동명대학교)
구 장항제련소 중금속 오염부지 재생 계획안 | 최호승(홍익대학교)
근미래 수장고 포화상태에 대응하는 종로구 도심형 링크 공간 | 최현영(홍익대학교)
입선
앵포르멜 서울 : 광화문 광장의 문화적 장소성 제안 | 강명환(인천대학교) |
보이드스쿨 | 강문희(한경국립대학교) |
BUBBLE LINK | 강민규(동명대학교) |
마이크로 스톡 하우스 | 공영빈(세종대학교) |
오토포이에시스 인터섹션 클러스터 | 권나현(홍익대학교) |
학성24시장 | 김다경(울산대학교) |
시장의 공원화를 통해 변화된 참여 | 김진수(울산대학교) |
선에 반응하는 도시 | 김혜송(전남대학교) |
미완성에서 자라나는 비스포크 공동주거 | 김회민(연세대학교) |
어반 리니어 파크 : 기후위기 대응 프로젝트 | 박은혁(서원대학교) |
어반 아토포스 | 박주미(홍익대학교) |
독도일야 | 손찬솔(남서울대학교) |
광장도시계획, nameless plaza | 송찬(중앙대학교) |
낙동을 되살리다 | 신은서(동서대학교) |
로드무빙 | 심나연(한경국립대학교) |
젠가 : 도시와 함께 쌓고 비우다 | 안서현(경남대학교) |
메타.팜.유닛 | 유민재(동명대학교) |
균열을 통한 생성적 아장스망 공간의 내러티브 시스템 | 은민수(홍익대학교) |
VINYARD OF LABORANS: 기술적 실업에 대응하는 호모 라보란스의 새로운 일터 | 이동희(홍익대학교) |
미장아빔 : 잠재된 기억을 통한 도시 재구성 | 이병현(홍익대학교) |
움벨트의 번짐과 얽힘 | 이선호(홍익대학교) |
자연의 유기적 형태로 돌아가는 폐플라스틱 | 이윤서(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비선형적 값과 삶, AI 데이터 박물관 | 이현경(성균관대학교) |
기어 오브 라이프 | 임정우(아주대학교) |
아나모르포즈적 중첩을 통한 참여의 장 | 조윤서(홍익대학교) |
회복가능한 교차점 | 조혜인(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엑소더스 : 난민 정착 프로젝트 | 최원범(서원대학교) |
도시 블록 속으로 | 최유정(동명대학교) |
메모리 몽타주 | 홍성원(홍익대학교) |
광주건축대전
최우수상 _ 아래&도시&위(UNDER&CITY&UPPER) | 오지민(일반)
대구건축대전
대상 _ FMMF(FOODMARKET&MAKGE OLLIFACTORY) | 남가근(국립금오공과대학교)
최우수상 _ Recovery of Eye Contact | 문홍욱(경북대학교)
최우수상 _ The path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Finding an Alley Community in Memory | 안중현&김민상(동명대학교)
부산국제건축대전
대상 _ Conrete Jungle | Dickxon Fernando(부경대학교)
특선 _ A Design of Underground Oasis in the City with a Miracle of Light | 이현희(일반)
제주건축대전
대상 _ ltruistic Boundaries | 강건우(제주대학교)
대한민국 실내건축대전
대상 _ 물의 시작점 | 희영(건국대학교)
최우수상 _ 정애당(情愛堂) | 이아라&이나경&최희연(가천대학교)
최우수상 _ 현심원(顯心院), 현충원에서 마음을 드러내다 | 장민지&임선영(인하공업전문대학교)
올해의 건축가 100인 국제전 100 ARCHITECTS OF THE YEAR 2024
<올해의 건축가 100인 국제전>은 세계 건축의 흐름 안에서 폭 넓은 국제 교류를 통해 한국 건축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도약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기존 <대한민국건축대전 초대작가전>의 30년 전통을 이어, 2012년부터 세계 최초로 국제건축가연맹(UIA) 공인을 받은 국제 초대전으로 확대하였다. 한국건축가협회와 국제건축가연맹(UIA)이 함께 하는 <올해의 건축가 100인 국제전>은 현대건축의 흐름과 전 세계 건축가의 철학을 한 곳에서 확인하고 살펴볼 수 있는 기회이자 건축문화를 대중과 공유하는 장이 될 것이다.
주최: 한국건축가협회(KIA), 국제건축가연맹(UIA)
주관: 한국건축가협회 국제위원회
국제위원회:
민형준(위원장, (주)내외종합건축사사무소), 윤재민(위원장, (주)제이엠와이아키텍츠), 김상범(부위원장,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전주리(부위원장, (주)9DIRECTORS AND COMPANY+9ARCHITECTUS)
올해의 건축가 100인 국제전 참여 건축가
Byungyoon Kim, Jaeyong Lee / Carlos Castanheira / Changki Yun / Chejin Lim, Sujin Shin / Chika Nomura /Chungwhan Park / Dongjae Sheen / Dongkeun Kim, Lee Anthony Polisano / Ehwa Yoo / Emre Arolat / Fabio Dacarro / Fernando Forte, Lourenço Gimenes, Rodrigo Marcondes Ferraz / Gaël DESVEAUX / Heebum Yang / Heejin Kim / Heoungrae Roh / Hohyun Kim / Hojae Cho / Howon Kang / Hun Yang / Hyunho Lee / Hyunjoon Yoo / Ikhyeon Ju / Inho Jeong, Eunchul Choi / Jaehee Chung / Jaeyoung Lee / Jaideuk Yu, Jaekyung Lee / Jeongho SEOK / Jeonghyun Kim / Jesi Kim / Jiae Han / Jihyeon Nam, Geunpoong Lim / Jinmi Lee / Jinwoo Lim / Jitaek Lim / Joaquín Pérez Goicoechea, Nasser Abulhasan /Joeun Kim, Richard Meier / Jongyup Lim, Yoonkyung Rho / Joori Chun, Sungjun Yoon / Josep Lluis Mateo / Junsik Eom /Juwon Kim / Keunwoo Cheon / Kiseok Kim / Kyunghoon Kim, Bogeun Jeong / Kyungsik Kim / Kyungsun Lee, Kirim Kim / Manchul Jung, Minjin Park / Mario Cucinella / Martín Boga, Julia Pereda, César Reisch, Carla Ribas, Felipe Saizar, Gustavo Vera Ocampo / Mijung Lim / Novriansyah Yakub / Odile Decq / Realrich Sjarief /Reda Amalou, Stéphanie Ledoux / Robert Konieczny / Sameep Maharaj Padora / Sang Kim / Seungbum Ma / Seungjune Lee, Heegeun Lee / Sihi Kim, Jeongheon Oh / Sooran Kim / Sophie Berthelier / Suhyung Hahn / Soyoung Kim /Sunghyun Hong / Sungik Cho / Sungki Park, Geunhak Ryu /Sungsin Park / Sungyeol Jang / Sungze Yi, Myongwon Lyu /Taeckgu Lee, Kisu Kang / Taehoon Yoon / Ting Yu / Tony Woonghee Cho / Won Lee / Wonshok Lee / Yoonchun Jung / Yoonkee Hong / Youngbae Kim / Youngjae Oh /Youngkyoon Jeong / Youngsun Ko
주최
주관
공식후원
공식후원사
후원사
(주)경동원, (주)경원알미늄, 라인강건산업(주), (주)LX글라스, JAGA Korea, (주)광스틸,(주)경서, 에코지음, 일신문화재단,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주)디앤비건축사사무소,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주)토문건축사사무소, 썬파크(주), 심지전문서적
경기건축가회 후원사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천마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유현준건축사사무소,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주)에스엠디자인건설, (주)삼우CM건축사사무소,
(주)오토데스크코리아, (주)상상진화, (사)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주)에코건축사사무소, 리현종합건축사사무소, (주)쎄코락, 썬파크(주), (사)한국건축사협회 경기지회,
(주)정동종합건축사사무소, (주)건축사사무소 삼건, (주)건축사사무소 토탐21, 맥건축사사무소, 영남대학교 건축과 81동기회, (주)지앤에스디자인파트너스,
(주)에이비라인 건축사사무소, (주)한양유화,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주)선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주)경동원, (주)경원알미늄, 라인강건산업(주), (주)LX글라스, JAGA Korea, (주)광스틸,(주)경서, 에코지음, 일신문화재단, (주)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주)디앤비건축사사무소, 운생동건축사사무소(주), (주)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주)토문건축사사무소, 썬파크(주), 심지전문서적
(주)진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천마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유현준건축사사무소,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주)에스엠디자인건설, (주)삼우CM건축사사무소, (주)오토데스크코리아, (주)상상진화, (사)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주)에코건축사사무소, 리현종합건축사사무소, (주)쎄코락, 썬파크(주), (사)한국건축사협회 경기지회, (주)정동종합건축사사무소, (주)건축사사무소 삼건, (주)건축사사무소 토탐21, 맥건축사사무소, 영남대학교 건축과 81동기회, (주)지앤에스디자인파트너스, (주)에이비라인 건축사사무소, (주)한양유화,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주)선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시아플랜건축사사무소
158-720 서울시 양천구 목동서로 225, 대한민국예술인센터9층 한국건축가협회 전화 02-744-8050 팩스 02-743-5363
사업자등록번호 208-82-03081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01-2543 이메일 kia@kia.or.kr
COPYRIGHT © 2024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LL RIGHTS RESERVED.
158-720 서울시 양천구 목동서로 225, 대한민국예술인센터9층 한국건축가협회 전화 02-744-8050 팩스 02-743-5363
사업자등록번호 208-82-03081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01-2543 이메일 kia@kia.or.kr
COPYRIGHT © 2024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LL RIGHTS RESERVED.